Sitemap

New Arrivals

[아연인문교양총서] 5. 대한제국을 위한 `변론`

최정수 지음 아연출판부 출판일: 2020.10.30 판매가: 13,000 원 2020.11.05 Views 1533

아연 번역총서 5

 

  

 

대한제국을 위한 '변론': 호머B. 헐버트의 '신한국론'과 국제주의

최정수 지음 | 아연출판부 | 2020월 10월 30일 | 판매가 13,000원 

 

[책소개]

오늘 한국은 극심한 사회분열을 겪고 있다. 만약 누군가가 오늘의 위기를 탈출할 조언자를 한 사람을 천거하라고 하면 나는 주저 없이 헐버트에게 달려갈 것이다. 그는 지금부터 115년 전 한국이 패망의 길로 들어선 시점부터 독립을 되찾을 때 까지 한국과 한국인을 위해 헌신한 미국인이다. 우리는 그를 기억해야 할 5가지 이유를 갖고 있다. 첫째, 그는 한국인에게 20세기에 적합한 국가 설계도를 제시했다. 그것은 한국인이 일찍이 가보지 못한 길이었다.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사회(Square Deal), 정의가 승리하는 사회 만들기는 헐버트의 ‘구한국청산과 신한국 건설론’의 핵심개념이기 때문이다. 오늘 한국은 ‘한 번도 보지 못한 국가 건설’을 추진 중이다. 그렇다면 참고해야 하지 않을까. 둘째, 그는 한국사를 만들어 준 인물이다. 그리고 역사가 무형의 국가임도 알려주었다. 신채호의 표현을 빌리자면 ‘형식상의 국가’를 빼앗겼을지라도 ‘정신상의 국가’를 간직하면 국가를 되찾을 수 있다는 점을 깨우쳐 주려고 했다. 셋째, 그는 한국인에게 ‘국제주의’를 안내한 인물이다. 그리고 국제주의를 국가 철학의 필수적인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주려고 했다. 즉 한국의 국가 건설은 민족공동체이자, 세계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길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그는 일본의 실체를 역사를 통해 밝혔다. 일본의 근대화는 법치주의를 결여했으며, 그것이 결국 세계인들의 재앙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헐버트는 일본판 성전(Jihad)의 실체를 일본 역사를 통해 밝혔다. 다섯째, 그는 한국문제를 미국외교의 아킬레스건으로 만드는데 공헌했다.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미국 헌법 위반이라는 관점에서 비판했기 때문이다. 그의 분석은 국제법이 한국을 구원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저자소개]

최정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한양대, 서울교대 등에서 강의해 왔다. “Theodore Roosevelt의 세계정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특히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거대전략과 관련지어, 그의 전략이 군사력뿐만 아니라 국제법을 근간으로 수립되었다는 점에 주목한 연구를 해 왔다. 현재는 미국의 혁신주의 전략가들인 시어도어 루즈벨트, 알프레드 T. 마한, 헨리 C. 로지 등의 역사 인식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미국의 미래를 역사 속에 새겨 넣으려 한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헐버트 연구 또한 그 연장선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논문으로는 <태프트-가쓰라협정의 국제법적 기원: 미일중재조약과 헤이그협약(1899)>, <한일병합조약의 국제법적 기원과 국제적 승인문제: 일본의 헤이그 포비아(Hague Phobia)’국제법 전쟁’>, <미국의 세계조약체제와 한국문제, 1905-1946> 등이 있다.

 

[목차]

서론 

 

1부 헐버트의 역사 전쟁

1장 한국사는 중국사의 일부가 아니다.

2장 한국사 쓰기는 20세기 역사 논쟁의 일부다.

3Square Deal 역사관한국인이 쓴 한국사를 심판하라.

43시대 구분법한국 민족 공동체의 역사가 존재함을 입증하라.

5장 역사철학신한국사를 쓰게 하라.

6장 국제주의한미일의 국제관계사를 써라.

 

2부 헐버트의 국제법투쟁

1장 대원군의 쇄국정책은 한국인의 DNA인가.

2장 구한국(Old Korea)은 왜 망했는가.

3장 법치개혁의 신한국(New Korea) 건설은 가능한가.

4장 일본은 한국을 지배할 능력/자격이 있는가.

5장 왜 미국이 한국 개혁의 새로운 후원자가 되어야 할까.

6장 왜 미국은 한국을 위해 미일전쟁을 각오해야 할까.

7장 한국을 포함시킬 수 있는 세계공동체는 무엇인가.

 

3부 역사의 심판

1장 루즈벨트의 거중조정 거부는 한미조약 위반이다.

2장 태프트-가쓰라협정은 한국에 대한 배신이었다.

3장 고종의 국제법 투쟁은 사대주의적 발상으로 볼 수 없다.

4장 을사협약은 국제법상 강박에 의한 무효이다.

5. 헐버트의 역사 법정은 동경전범재판을 예고했다.

 

결론

 

참고문헌

첨부파일
이전글이 없습니다.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