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Academic Event

[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 ‘공화’(共和)의 수용과 변용: 사상과 제도

2011.10.20 6659

신해혁명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에서 '공화(共和)'의 수용과 변용 : 사상과 제도

 

일시 : 2011년 10월 7일(금) 9:00~18:00

장소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 연구소 3층 대회의실

주최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후원 : 한국연구재단

 

 

본 연구소는 2011107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대회의실에서 신해혁명 100주년을 기념하여 동아시아에서의 '공화' 수용과 변용:사상과 제도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학술대회는 본 연구소 이내영 소장의 인사말과 아주대학교 사학과 김태승 교수의 기조발제로 막이 올랐다. 이내영 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학술대회의 개최의의를 세기 동안 진행되어 공화주의 사상과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동아시아 미래의 바람직한 정치질서를 모색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IMG_4513.JPG

 

본 학술회의는 총 3세션으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먼저 1세션에서는西洋東洋共和’ 理解 주제로 △서양의 공화주의 전통 △중국 사상전통 속의 共和’ 중심으로 등의 발표 토론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2세션에서는 19世紀 ~ 20世紀 前半 '共和主義' 思想受容變容 주제로 △왕정에서 공화정으로의 전환 : 대한제국기 ~ 일제 초기공화정 사상의 수용과 전개 清末共和思潮述评 : 以孙中山和梁启超的共和认知为中心 (청말 공화사조 술평: 손중산과 양계초의 공화 인식을 중심으로) 近代日本における 共和主義’ 思想民本主義思想(근대 일본에 있어서 공화주의 사상과 민본주의사상) 등의 발표 토론이 이루어졌다.

 

마지막 3세션에서는 20世紀 東亞細亞 '共和政'制度的 樣相 주제로 △國民黨政權體制下共和制度的演變探討 (국민당 정권체제 하의 공화제도 변화 연구) △계급과 공화 : 중국공산당의 공화국건설 구상의 변천 △한국 공화제의 기원등장전개 : 사상과 제도의 핵심 특징을 중심으로 △개혁개방기 중국의 공화제 논쟁에 대한 고찰 등의 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졌다.

 

 1세션 번째 발표인 조승래 교수의 <서양의 공화주의 전통> 서양에서의 공화, 공화국, 공화주의에 대한 이해와 논쟁들을 소개했다. 번째 발표인 이정환 교수의 <중국 사상전통 속의 共和’> 동양과 서양의 서로 다른 정치적 의미의 조우가 비단 우연이나 순수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서양의 정치제도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동양 사상의 전통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부여했다.

 

2세션 번째 발표인 박현모 연구원의 <왕정에서 공화정으로의 전환 : 대한제국기 ~ 일제 초기, 공화정 사상의 수용과 전개>1897년부터 1919년까지 20 년의 기간 동안에 일어난 한국인들의 정치체제에 대한 선호의 전환, 종래의 왕정 대신 공화정을 선택하게 계기를 분석했다. 특히, 조선왕조에서 공화라는 말이 어떤 의미로 쓰였으며, 어떻게 소개되었는지 점을 강조하였다. 번째 발표인 이공충 교수의 <청말 공화사조 술평 : 손중산과 양계초의 공화 인식을 중심으로>공화 중국인들의 기존 지식 자원과 어떻게 결합하였으며, 특히 서구 공화전통의 명분실제 중국에서 어떠한 운명을 맞게 되었는지를 밝혔다. 다섯 번째 발표인 오제키 모토아키 교수의 <근대 일본에 있어서 공화주의 사상과 민본주의사상> 공화주의와 근대와의 관계를 생각할 서구중심주의에 머물러서는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아시아에서 공화제가 체제로서 쉽게 정착하지 못한 문제 또한 지적했다.

 

3세션 여섯 번째 발표인 허육명 교수의 <국민당 정권체제 하의 공화제도 변화 연구> 국민당이 어떻게 공화제도를 점차 민주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했으며, 당국체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사라지게 되었는지를 다루었다. 일곱 번째 발표인 박상수 교수의 <계급과 공화 : 중국공산당의 공화국건설 구상의 변천> 창당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설에 이르기까지 중국공산당이 제시한 공화국 건설 방안을 통시적으로 추적하면서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공화정치를 실현하는지를 분석했다. 여덟 번째 발표인 박명림 교수의 <한국 공화제의 기원, 등장, 전개 : 사상과 제도의 핵심 특징을 중심으로> 형식과 이념 차원 모두에서 한국의 공화제와 공화주의는 부분적 연속성상당한 변화 보여주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홉 번째 발표인 이정남 교수의 <개혁개방기 중국의 공화제 논쟁에 대한 고찰> 개혁개방기 중국의 공화제를 둘러싼 논쟁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것이 중국의 정치개혁의 방향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가를 분석했다.

 

 

IMG_4660.JPG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