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심포지엄] 한일 관계를 되묻는다: 해방인가 분리인가/ 가지무라 히데키와 한반도
2012.09.20 7602
한일관계를 되묻는다
해방인가 분리인가 / 가지무라 히데키와 한반도
 
•일시: 9월13일(목) 09:30-18:30
•장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3층 대회의실
•주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HK 사업단
•주최: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일본학술진흥재단 (JSPS) 경제협력의 기원 연구 프로젝트
•후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연구재단
*한일동시통역
 
 
 
 
 
| 시간 | 내용 | 
| 09:30~ 09:35 |   개회 이내영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장)   | 
| 09:35~ 12:00 |   제1세션 : 해방/분리의 원점 사회: 이종원(早稲田大学)   1. 식민지주의의 ‘공범’: 두 개의 강화조약에서 초기 한일교섭으로 太田修(同志社大学) 2. 일본 패전후의 한일 ‘분리’와 조선의 주권(主權) 長澤裕子(二松学舎大学) 3. 해방의 이론과 실제: 초기 대한민국 정부의 병합조약에 대한 인식과 행동 이동준 (아세아문제연구소) 4. 법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일 과거 청산의 기본구조 김창록 (경북대)   토론: 현대송(국민대 일본학연구소), 정용욱(서울대), 石川健治(東京大学), 도시환(동북아역사재단)   | 
| 12:00~ 13:20 | 점심식사 | 
| 13:20 ~ 15:30 | 제2세션 : 해방/분리의 청산과정 사회: 박상수(아세아문제연구소) 
 1. 제국 청산과정으로서의 한일교섭 浅野豊美(中京大学) 2. 전후 한국에서의 대일배상요구의 변용 장박진(국민대 일본학연구소) 3. 전후 일본 노동 운동의 출발과 재일조선인 外村大(東京大学)   토론: 박정현(아세아문제연구소), 이종원(早稲田大学), 김태기(호남대),송병권(아세아문제연구소) | 
| 15:30 ~ 15:40 | 휴식 | 
| 15:40 ~ 18:00 |   제3세션 :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의 역사학과 한반도 사회: 송규진 (아세아문제연구소)   1. 「일한(日韓) 체제」 하의 민중과 「의미로서의 역사」: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인식과 역사 인식 姜元鳳(東京外国語大学) 2.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자본주의론: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종속발 전」론 洪宗郁(同志社大学) 3. 일본 「전후 역사학」의 전개와 미완의 가지무라 사학: 국가와 민중은 어떻게 (재)발견되었는가? 戸邉秀明(東京経済大学) 
 토론: 宮嶋博史 (성균관대), 木宮正史(東京大学), 조관자(서울대 일본연구소)   | 
| 18:00 ~ 18:30 |   종합토론 사회: 이종원(早稲田大学) | 
"본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은 내년 상반기 <동북아총서>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그런 관계로 학술대회 자료집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