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Research Papers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윤인진 부소장, 권일남, 김태균, 배진숙, 송영호)

2016.11.07 Views 1524

-제목: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

-저자 : 윤인진(부소장), 권일남, 김태균, 배진숙, 송영호

-출판정보 : 통일문제연구 27권 1호 (2015.6)

 

-논문초록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은 내국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이과정에서 교류와 협력만이 아니라 경쟁과 길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적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형성한 재외동포의 다양한 문화와 정체성은 한국에서 종종 무시와 차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재외동포와 한국인 간의 공존의 원리로서 다문화주의가 요구된다. 이논문에서는 2009년, 2011년, 2013년에 실시된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해서 일반국민이 재외동포에 대해 갖는 인식의 현황과 변화 양상을 진단하고, 국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를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일반국민의 한민족의식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강할수록, 재외동포와의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재외동포를 더욱 친밀하게 느끼고, 한민족의식의 효과가 다문화 수용석의 효과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외동포의 국내 체류 및 정착을 허용하는 정도에서는 세 변수들의 효과가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다문화 수용성의 효과가 한민족의식의 효과보다 큰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재외동포의 국내 체류와 정착과 같이 내국인에게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 있어서는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고 외국인을 평등하게 대우하려는 다문화주의적 태도가 재외동포를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Since the 1990s, an increasing number of overseas Koreans have returned to and resided in South Korea, and they have interacted more closely than ever with South Korean nationals. This interaction has resulted in not only exchanges and cooperations but also competition and conflicts. Moreover, due to their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ies formed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have been subjected to contempt and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Thus, multiculturalism is needed as a principle of coexistence between overseas Koreans and South Korean nationals.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examines South Korean nationals’perceptions of overseas Koreans by using data from nationwide surveys conducted in 2009, 2011, and 2013. Also, it analyzes the effects of Korean ethnic conscious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ontact experience on South Korean nationals’ perceptions of overseas Korean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ronger Korean ethnic consciousness, greater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ore contact with overseas Koreans South Korean nationals have, the closer feeling they have towards overseas Koreans. With respect to intimate feeling to overseas Koreans, Korean ethnic consciousness has a greater effect than multicultural acceptance. Also,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ve equally positive effects on their willingness to allow overseas Koreans to stay temporarily and permanently in South Korea. However,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greater effect than Korean ethnic consciousness on the acceptance of overseas Koreans’ settlement in South Ko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matters that affect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South Korean nationals like the settlement of overseas Koreans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acceptance that acknowledges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s equal opportunities for foreigners play a critical role in acceptance of overseas Koreans.

 

file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