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아연 사람들

  • 이정남 [중국연구센터장] [교수]

    • 소속
    • 전화 02-3290-5252
    • 이메일ljnam21@korea.ac.kr
    • 연구실아세아문제연구원 109호
학력
1999.07
  • 북경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1994.08
  • 고려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수료
1992.08
  • 고려대학교 대학원/정치학 석사
1987.08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영문과 학사
경력
2023.03~현재
  • 고려대 일반대학원 동아시아문화산업협동과정 교수
2011.03~현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중국연구센터장
2017.01~현재
  •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2025.01~현재
  • 한국정치학회 이사
2022.01~현재
  • 한중사회과학회 이사
2020.11~현재
  • 아세아연구(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발행) 편집위원
2023.01~2024.12
  • 대한중국학회 편집이사
2023.01~2023.12
  •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2022.08~2023.07
  • 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Harvard University, Visiting Scholar 
2021.01~2021.12
  •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2020.01~2020.12
  • 현대중국학회 미래기획위원 이사

2019.01~2019.12

  • 한국정치학회 여성분과위원회 위원장

2018.01~2019.12

  • 현대중국학회 부회장

2017.01~2020.12

  •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2019.01.2020.12
  • 대한중국학회 편집이사

2016

  • Who’s Who in the World 2016(33rd Edition) (published by Marquis Who’s Who LLC) 등재
2016.11~2016.12
  • 中国上海外国语大学中国学研究所 海外学术顾

2016.01~2016.12

  • 한국국제정치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상임위원장

2015.01~2015.12

  • 한국정치학회 한중특별교류위원회 위원장

2014.09~2016.08

  •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정책자문위원
2014.01~2014.12
  •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국제정치논총』 편집위원 / 이사

2013.03~2015.02

  • 한중사회과학회 이사

2013.01~2013.12
  • 현대중국학회 학술연구위원회 위원장
2013.01~2013.12
  • 한국국제정치학회 감사 / 이사
2012.01~2012.12
  • 한국국제정치학회 대외협력이사
2012.01~2012.12
  • 한국세계지역학회 이사
2011.09~2011.12
  • 대한중국학회 편집이사
2011.09~2012.08
  • 중국정치연구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2011.03~현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중국연구센터 센터장
2011.07.12~2011.08.12
  • Visiting Scholar of Institute of Asian Studies in American University
2010.09~2011.08
  • 대한중국학회 편집이사
2010.01~2010.12
  • 한국세계지역학회 국제이사
2009.01~2009.12
  • 한국지방정치학회 이사
2009.01~2009.12
  • 한중관계발전을 위한 한-중 전문가 공동연구위원회 집행위원회 집행위원/정치분과위원
2009.01~2009.12
  • 한국세계지역학회 섭외이사
2008.07~2011.02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2007.01~2010.12
  • <평화연구>(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편집위원
2008.01~2009.12
  • 대한정치학회 편집이사
2006.09~2007.08
  • 한국지방정치학회 이사
2006.01~2006.12
  • 한국시민윤리학회 NGO연구분과 위원장
2003.09~2004.12
  • 사단법인 현대중국학회 총무
2002.07~2008.06
  •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2002.03~2002.08
  • 숙명여자대학교 정법학부 강사
2002.03~2002.06
  •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책임연구원
2000.03~2002.02
  •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동아시아교육연구단 Post-doc.연구원
1999.10~2010.02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객원연구위원
1999.09~2002.08
  •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강사
1995.09~1996.08
  • 중국 인민대학교 방문학자 (고급진수생)
1994.03~1995.02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원
저서, 편서 및 단행본 논문
  • 『문화대혁명사』, 나무와 숲, 2000. (공역)
  • 『轉型期中國的政治理論與實證探索上下』, 中國法制出版社(北京), 2002(편서).
  •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도서출판 오름, 2003(편서).
  • 『동북아의 평화사상과 평화체제』, 리북출판사, 2004,
  • 『현대중국의 이해: 정치, 경제, 사회』, 나남출판사, 2005(공저).
  • 『글로벌시대의 지방의 경쟁력과 Loc-balization(지방의 세계화)』, 경기개발연구원, 2005(공저).
  • 『글로벌시대 수도권 발전방안과 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공저).
  •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개혁, 그리고 정치변화』, 폴리테이아, 2007(단독저).
  • 『중국 영토분쟁의 현황 및 해결방식에 대한 실증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  『중국의 정책결정』, 한중씽크넷, 2008(공저)
  • 『중국현대국제관계』, 오름출판사, 2008(공저).
  • 『동북아의 근대적 변용과 탈근대적 지향』, 매봉출판사, 2008(편서)
  • 『미래지향적 한중관계』, 폴리테이아출판사, 2009(편서).
  • 『構建和諧東亞-中日韓關系與東亞未來』,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9(편서)
  • 『變化中的東亞與美國:東亞的(山+屈)起及其秩序構建』,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0. (편서)
  • 『中國式民主的政治學觀察』, 西北大學出版社, 2010(편서)
  • 『중국의 미래를 말하다』, 동아시아연구원, 2011(편서)
  •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과 전개』, 아연출판부, 2011(편서)
  • 『민주주의와 중국』, 아연출판부, 2012(편서)
  •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Hegemony or Community? , Routledge, 2014(편서)
  • 『개혁개방기 중국 공산당』, 아연출판부, 2014 (편서)
  • 『세력전환기 동아시아 국가정체성과 지역정체성』, 아연출판부, 2014(편서)
  •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변환과 한국의 전략 전략』, 아연출판부, 2014 (편서)
학술지 논문
  • “인터넷시대의 출현과 중국 군체성 사건의 발전: ‘신공민운동’을 사례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4권 2호(2016년 4월)
  •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딜레마: 전환과 지속의 갈림길에서,” 『한국과 국제정치』 31권 3호(2015년 9월)
  • “중국 군체성 사건의 새로운 변화와 특징: 분절적 저항행위에서 사회운동의 맹아적 형태로,” 『국가전략』 21권 2호(2015년 6월)
  • “시진핑 집권 이후의 중국 대외정책 변화와 동아시아 정책,” 『성균 차이나 브리프』 3권 2호(2015년 4월)
  • “‘좋은’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중소연구』 38권 3호(2014년 가을), 한양대 아태지역센터/중국문제연구소.
  •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인터넷 여론의 역할: 제3차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책결정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014년 제21권 제3호, 경희대 국제지역원.
  •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중 전략적 협력을 둘러싼 딜레마,” 『평화연구』 제22권 1호(2014.4.30), 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Perceptions of Democracy among Intellectuals in Contemporary China: Evidence from Study on Political Scientists in Beijing and Shanghai” Asian Perspectiv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Portland State University)(forthcoming)
  • “중미관계에 대한 중국의 인식: ‘이익 상관자’, ‘G2’와 ‘신형강대국관계’를 중심으로”『현대중국연구』 제15집 1호(2013).
  • "시진핑(習近平)지도체제의 등장과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 <아세아연구> 56권 1호(2013, 3월).
  • “Dilemma of Korea-China Relations with the Emergence of the G2 Era”,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0, No.2 (December, 2012).
  • "중국의 정치변화: 공산당과 인민대표대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아세아』, 19권 2호, 2012.06, 신아시아연구소
  • “Outlook on Chinese Foreign Policy in the Coming Era of Xi Jinping from China'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OREA INSTITUTE DEFENSE ANALYSES(KIDA) vol.24, no.3 2012. 
  • "韓國對中國在東北亞安全嶺域角色的認知", 『現代國際關系』(中國現代國際關系硏究院) 第11期(2011年11月).
  •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 Change in China’s View of the U.S.: Analysis of Academic Perspectives",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Area Studies), Vol.29 No.2 2011.
  • "민주주의에 대한 중국의 인식: 비교 역사적 관점을 중심으로",『아세아연구』3권 54호, 2011.09, 아세아문제연구소
  • "제11기 4차 인민대표대회를 통해서 본 중국의 발전 방향",『EAI논평 (웹진)』 , 2011.04, 동아시아연구원
  • "냉전기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 동맹관계의 동학",『평화연구』, 1권 19호 , 2011.04,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중국의 미래를 말하다:글로벌 수퍼파워의 가능성과 전망』2011.04, 동아시아연구원
  • "중국의 동아시아 안보공동체의 이론과 정책",『동아시아 공동체 설립과 평화구축』, 2010.12, 동북아역사재단
  • "2010년 중국의 정치개혁 논쟁의 의미와 한계",『동아시아브리프』18권, 2010.11, 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
  • "조화세계론을 통해서 본 중국의 동아시아 질서구상: 중화질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1권 50호 , 2010.03, 한국국제정치학회
  •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국제관계연구』1권 15호,2010.03, 일민국제관계연구원
  •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theory of Chinese­Style Democracy", International Area Review(A Joint Publication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and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13, no.2 (Spring, 2010).
  •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외교에 대한 이해와 한중관계",『평화연구』3권 17호 , 2009.10, 고려대 평화연구소
  • "중국 기층민주주의 발전과 정치적 의의",『민족연구』38호 , 2009.06, 민족문화연구원
  • "China's soft power in East Asia: an estim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surveys of six countries"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OREA INSTITUTE DEFENSE ANALYSES(KIDA) Vol.21 No.2(June, 2009)
  • "최근 중국의 민주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현대중국연구』2권 10호 , 2009.02, 현대중국학회
  •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과 대중의 참여: 물권법 통과를 사례로",『중국의 정책결정』, 2008.12, 항중싱크넷
  • "동북아 차이니스 디아스포라와 국가정책",『국제지역연구』3권 12호 , 2008.10, 한국외대지역학종합센타
  • "The rise of China and soft power; China's soft power influence in Korea",The China review 1권 8호 , 2008.04, The Chinese Honkong University
  • "中國的(山+屈)起, 對中國周邊國家是威脅或是機會?",『現代國際關系』(現代國際關系硏究院) 第12期(2007年 12月)
  • "체제전환기 중국의 다문화주의-국제결혼을 중심으로",『민족연구』32 , 2007.12, 교양사회
  • "韓國人對中國的認識及其對韓中關系的含義",『韓國硏究論總』1권 17호 ,2007.12, 中國復旦大韓國硏究中心
  • "중국의 기층민주주의 확대와 향진장 직선제",『국제지역연구』2권 11호 ,2007.07,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동북아 국가체제와 인구이동: 초국경적 사회통합과 동북아적 특성",『신아세아』2권 14호, 2007.06,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중국의 기층선거와 파면권행사: 정치적의미와 한계",『국가전략』1권 13호 ,2007.03, 세종연구소
  • “최근 한국의 중국정치 연구동향: 주제와 쟁점을 중심으로”,『현대정치학 이론의 발전』, 2007.02, 인간사랑
  • "Revival of Chinese Nationalism Since the 1990s and its Characteristics: Perspectives of Chinese Intellectualls",Asian Perspectiv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Portland State University) vol.30, No. 4(winter, 2006)
  • "天下에서 민족국가로: 중국의 근대민족주의의 형성 및 현재적 의의를 중심으로",『중소연구』1권 30호, 2006.05,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근대중국의 공화주의적 정치체제의 등장과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제한된 정치적 시민권의 제도화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1권 40호 , 2006.03, 한국정치학회
  • "동아시아 협력네트워크와 지방의 역할: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 4권 9호, 2006.01,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중국의 기층선거와 여성의 정치참여”,『중소연구』2권 29호,2005.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China's Multilateral Diplomacy:Posi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Conception and Its Limitation”,『當代亞太』6호,2005.06, 中國社會科學院 亞太硏究所
  • “중국의 대외인식과 정책: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전쟁관과 평화관을 중심으로”,『평화연구』1권 13호, 2005.04, 고려대 평화연구소
  •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국제정치논총』1권 45호, 2005.04, 한국국제정치학회
  • “간도영유권분쟁의 현실과 과제",『시대논리』6권, 2004.12, 교양사회
  • “체제전환기 중국의 사영기업가단체와 국가: 원저우지역 상회(商會)를 중심으로",『현대중국연구』1권 5호, 2003년 10월, 현대중국학회
  •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정책: 미·일동맹을 중심으로",『평화연구』4권 11호, 2003.10, 고려대 평화연구소
  • “중화사상과 근대 동북아 국제관계의 재편",『국제지역연구』2권 7호, 2003.04,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체제전환기 중국의 촌민자치와 국가와 사회관계",『중소연구』2권 26호, 2002.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개혁기 중국 농촌의 정치참여와 통제",『국제정치논총』2권 41호, 2001.11, 한국국제정치학회
  • “중국의 제2차 향진기업 창업전략을 통해서 본 지방정부의 역할-수난지역을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1권 17호, 2001.06,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
  • “중국의 시장화 과정 중 향진기업의 발전과 지방정부의 역할: 수난지역과 원저우지역을 사례로",『한국정치학회보』4권 34호, 2000.12, 한국정치학회
  • “중국의 체제전환기 지방정부의 역할: 온주지역 향진기업의 발전 중 지방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논총』14호, 2000.10, 한국세계지역학회
단행본
  •   Kuyoun Chung & Wonbin Cho(eds), New Democracy and Autocratization in Asia New York: Routledge, 2022(Lee, Jung-nam &  13 others paticipated as contributors). 
  • 이정남 편저,  『중국공산당 수립 100주년과 2050년 중국: 어떤 강대국이 될 것인가?』 서울: 아연출판부, 2022(이정남 외 8인 참여).
  • 이정남 편저, 『시진핑 시대’ 중국의 정치체제: “중국식 정치체제모델‘의 형성인가?』 서울:  아연출판부, 2021(이정남 외 7인 참여). 
  • 이정남 편저,  『중국의 꿈과 민주주의: 중국은 왜 민주화되지 않는가?』 서울: 아연출판부, 2021(이정남 외 6인 참여)
  • 이정남 저, 『세력전환시대 중국의 대외정책』 (고려대출판문화원, 2021).
  • 남광규 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대북 국가이익』(아연출판부, 2021). (이정남 외 7인 참여)
  • 李正男 编著, 唐坤 赵青峰 宗立宁 编译, 『中国梦: 中国追求的强国像』 Seoul: INSOKWON, 2019.
  • 이정남, 유은하, 정주영 역, 『 중국의 민주주의: 민주 관념의 생성과 변천』 아연출판부, 2019.
  • 이정남 편저, 『중국의 꿈: 중국이 지향하는 강대국 초상』  서울: 아연출판부, 2018(이정남 외 8인 참여)
  • 서승원, 이정남 외 4인 공저, 『중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서울: 제팬리뷰,  2017.
  • 이내영, 윤인진 편,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와 연속, 2005-2015』, (EAI Press, 2016.8)(이정남 외 9인 참여).
  • Yong Wook Lee & Ki-Young Son(eds),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Hegemony or Community? Routledge, 2014, (Lee, Jung-nam &  8 others paticipated as contributors). 
  • 이정남 편, 『개혁개방기 중국 공산당』 서울:아연출판부, 2014 3(이정남 외 6인 참여)
  • 이정남·이내영 편, 『세력전환기 동아시아 국가정체성과 지역정체성』 서울:아연출판부, 2014. (이정남 외 6인 참여)
  • 이용욱·손기영 편,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복합변환과 한국의 전략』(아연출판부, 2014)(이정남 외  6인 참여) 
  • 김흥규 편, 『중국 신외교전략과 당면한 이슈들』(오름, 2013)(이정남 외 9인 참여)
  • 이정남 편, 『민주주의와 중국』, 서울: 아연출판부, 2012(이정남 외 8인 참여). 
  • 이신화, 이내영 편,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과 전개』, 서울:아연출판부, 2011. (이정남 외 10인 참여)
  • 이동률 편, 『중국의 미래를 말하다』,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이정남 외 6인 참여)
  • 谭君久主编, 『中國式民主的政治學觀察』, 西安: 西北大學出版社, 2010. (李正男 外 24个人 参与). 
  • 동북아역사재단 편, 『동아시아 공동체의 설립과 평화 구축』 (동북아역사재단, 2010년 12월)(이정남 외 7인 참여)
  •  黄大慧编,『變化中的東亞與美國:東亞的崛起起及其秩序構建』,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0.  (李正男 外 14个人 参与)
  • 黄大慧编,『構建和諧東亞-中日韓關系與東亞未來』,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9.(李正男 外 14个人 参与)
  • 백권호 편, 『미래지향적 한중관계』, 폴리테이아출판사, 2009.(이정남 외 9인 참여)
  • 강성학, 서진영, 조정남, 우평균 편,『동북아의 근대적 변용과 탈근대적 지향』, 매봉출판사, 2008.(이정남 외 9인 참여)
  • 한국 국제정치학회 중국분과편,『중국현대국제관계』, 서울:오름출판사, 2008.(이정남 외 10인 참여)
  • 동북아역사재단 편, 『중국 영토분쟁의 현황 및 해결방식에 대한 실증 연구』,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8.(이정남 외 9인 참여)
  • 한국정치학회 편, 『현대정치학의 이론과 발전』 서울: 인간사랑(이정남 외 18인 공저)
  • 이정남 저,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개혁, 그리고 정치변화』, 서울: 폴리테이아, 2007.
  • 이정남 외 2인 공저, 『글로벌시대 수도권 발전방안과 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 이정남 외 5인 공저, 『글로벌시대의 지방의 경쟁력과 Loc-balization(지방의 세계화)』, 경기개발연구원, 2005.
  • 이정남, 김익수 외 13인 공저, 『현대중국의 이해: 정치, 경제, 사회』, 서울: 나남출판사, 2005. 
  • 강성학 편, 『동북아의 평화사상과 평화체제』, 서울: 리북출판사, 2004.(이정남 외 11인 참여)
  • 서진영, 우철구, 최영종 편,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3.(이정남 외 9인 참여)
  • 周志忍、褚松燕主编, 『轉型期中國的政治理論與實證探索上下』, 北京: 中國法制出版社, 2002(이정남 외  36인 참여).
  • 이정남, 하도형, 주장환 역, 『문화대혁명사』, 서울:나무와 숲, 2000.
논문
  • “ ‘선발형’사회에서 선거: 중국의 선거제도의 기능과 역할.” 『중소연구』(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2025.02), pp. 43-80.(KCI)
  • “한중일 정산회의로 본 한중관계: 새로운 관계 형성의 물꼬트기와 향후 과제.” 『성균 차이나 브리프』 (성균중국연구소, 2024.07),  pp.77-86. 
  • “2023년 한중관계: 전환기에 직면한 한중관계의 도전과 과제.” 『2023년 중국정세보고』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중국연구센터, 2024.03), pp. 211~248.
  • “ 중국 2023: 거버넌스 위기와 강화되는 통제 국가화.” 『아세아연구』(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7집 1호(2024.03).(KCI)
  • “시진핑 시대 중국의 기구개혁와 당의 국가화: 유사-전능주의(Quasi- Totalism)정치의 제도화.”  『중소연구』(한양대 아태지역연구원) 47집 4호(2024.02)(KCI).
  • “중국 2022: 중국 공산당 20차 당대회와 중국식 근대화- 시진핑은 성공적으로 노선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인가?” 『아세아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5권 1호(2022년 3월).(KCI)
  • “중국 공산당 20차 당대회 결과 분석: 권력 구도 변화와 대외정책에 대한 함의.” 『정세와 정책』 (세종연구소) 356집(2022.11)
  • “2021년 중국: 시진핑(习近平) 주석의 장기집권을 향한 포석 다지기와 도전” 『아세아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5권 1호(2022.03).(KCI)
  • “2020년 중국과 시진핑정권: 시진핑 주석의 장기집권은 가능할 것인가?” 『아세아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4권 1호(2021.03).(KCI)
  • “미중 세력경쟁시대 중국의 대북한 전략적 이익과 대북한 정책 선택의 마지노선: 한국의 대중국정책에 대한 함의.” 남광규 편저, 『미국·중국·일본·러시아의 대북 국가이익』 (아연출판부, 2021.02), 11-145쪽. 
  • “시진핑 ‘신시대’ 중국의 정체제제: 당국가체제의 ‘진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권위주의체제의 등장.” 『중소연구』 (한양대아태지역센터)44권 3호(2020.11).(KCI)
  • “중미 간 경제무역 갈등의 본질 및 대응방향에 대한 중국내의 인식.” 『국가전략』 (세종연구소)제26권 1호(봄호, 2020.02).(KCI)
  • "5.4운동 100주년을 통해서 본 중국 정치체제의 변화: 딩국가체제의 승급인가?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인가?” 『현대중국연구』(현대중국학회) 제21집, 제2호(2019)(KCI)
  • “시진핑의 중국몽(中國夢): 중국주도의 세계질서(Pax-Sinica) 구상과 그 한계.” 『아세아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1권 4호(2018).(KCI) 
  • “중미 경쟁시대 중일관계의 재정립: 중국내 국제정치학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현대중국학회) 20권 2호(2018).(KCI)
  • “중국 집단지도체제 권력승계의 제도화와 19차 당대회 이후의 변화: 새로운 게임 규칙의 모색인가?” 『중소연구』 (한양대아태지역센터)42권 2호(2018)(KCI)
  • “중국이 구상하는 세계질서 상: 중국내 국제정치학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논총』 (한국국제정치학회) 57권 4호(2018).(KCI)
  • “미중 경쟁시대에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인식과 정책: 한국내 중국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60권 2호(2017)(KCI)
  • “중국 공산당 19차 당대회-강대국 중국의 21세기 미래 전략 제시.” 『안보현안분석』(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136권(2017.10)(일반학술지)
  • “시진핑(習近平)의 권력강화와 중국 권위주의 체제의 변화: 경쟁적 독재에서 확립된 독재로의 전환인가?” 『중소연구』 (한양대 아태지역원) 41권 1호(2017).(KCI)
  • “동아시아지역 미중경쟁구도 강화에 따른 한국인의 대미․대중 인식변화.” (이내영, 윤인진 공편) 『한국인의 정체성』동아시아연구원(EAI)(2016년 8월)(단행본 중 논문)
  • “인터넷시대의 출현과 중국 군체성 사건의 발전: ‘신공민운동’을 사례로.” 『한중사회과학연구』 (한중사회과학회), 14집 2호(2016년 4월).(KCI)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딜레마: 전환과 지속의 갈림길에서.” 『한국과 국제정치』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31집 3호 (2015년 9월).(KCI)
  • “중국 군체성 사건의 새로운 변화와 특징: 분절적 저항행위에서 사회운동의 맹아적 형태로.” 『국가전략』(세종연구소), 21집 2호(2015년 5월).(KCI)
  • “시진핑집권이후의 중국 대외정책 변화와 동아시아 정책.” 『성균차이나브리프』 (성균중국연구소), 3권 2호(2015년 4월).
  • “‘좋은’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중소연구』 (한양대 아태지역센터/중국문제연구소) 38권 3호(2014년 가을).(KCI)
  •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인터넷 여론의 역할: 제3차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책결정을 중심으로.” 『아태연구』(경희대 국제지역원),  2014년 제21권 제3호. (KCI)
  •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중 전략적 협력을 둘러싼 딜레마.” 『평화연구』(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제22권 1호(2014.4.30.).(KCI)
  •  “제12기 2차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서 본 시진핑체제의 향배.” 『안보현안분석 』(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93권(2014년 3월). 
  • “중미관계에 대한 중국의 인식:  ‘이익 상관자’, ‘G2’와 ‘신형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15집 1호(2013, 8월).(KCI)
  • Jung-Nam Lee, “Perceptions of Democracy among Intellectuals in Contemporary China:  Evidence from Study on Political Scientists in Beijing and Shanghai.” Asian Perspective, Vol. 37, No.3 (July-Sept. 2013)(SSCI)
  • Jung-Nam Lee, “Outlook on Chinese Foreign Policy in the Coming Era of Xi Jinping from China'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IDA Vol.24, No.3(Dec. 2012)(SSCI)
  • "시진핑(習近平)지도체제의 등장과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 <아세아연구> 56권 1호(2013. 3월)(KCI). 
  • Jung-Nam Lee, “Dilemma of Korea-China Relations with the Emergence of the G2 Era.”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0, No.2 (December, 2012).(KCI)
  • "중국의 정치변화: 공산당과 인민대표대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아세아』 19권 2호(2012.06),신아시아연구소.(KCI)
  • 李正男,"韓國對中國在東北亞安全嶺域角色的認知." 『現代國際關系』 2011年 11期, 中國現代國際關系硏究院.(CSSCI)
  • Jung-Nam Le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 Change in China’s View of the U.S.: Analysis of Academic Perspectives," 『세계지역연구논총』(한국세계지역학회), Vol.2, No.29, 2011.09.(KCI) 
  • "민주주의에 대한 중국의 인식: 비교 역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3권 54호, 2011.09, 아세아문제연구소.(KCI)
  • 이정남,"제11기 4차 인민대표대회를 통해서 본 중국의 발전 방향." 『EAI논평 (웹진)』 2011.04, 동아시아연구원.
  • "냉전기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 동맹관계의 동학." 『평화연구』 1권 19호 , 2011.04,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KCI)
  •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 『중국의 미래를 말하다: 글로벌 수퍼파워의 가능성과 전망』 2011.04, 동아시아연구원.(단행본 중 논문).
  • "중국의 동아시아 안보공동체의 이론과 정책." 『동아시아 공동체 설립과 평화구축』, 2010.12, 동북아역사재단.(단행본 중 논문).
  • "2010년 중국의 정치개혁 논쟁의 의미와 한계." 『동아시아브리프』 18권, 2010.11, 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
  • "조화세계론을 통해서 본 중국의 동아시아 질서구상: 중화질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1권 50호 , 2010.03, 한국국제정치학회.(KCI)
  •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제관계연구』 1권 15호, 2010.03, 일민국제관계연구원.(KCI).
  • Jung-Nam Lee,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theory of Chinese­Style Democracy."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Vol.13, No.1( 2010.03).(KCI)
  •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외교에 대한 이해와 한중관계." 『평화연구』 3권 17호, 2009.10, 고려대 평화연구소.(KCI)
  • "중국 기층민주주의 발전과 정치적 의의",『민족연구』38호 , 2009.06, 민족문화연구원(KCI)
  • Jung-Nam Lee, "China's soft power in East Asia: an estim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surveys of six countries.”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IDA Vol.21 , 2009.06.(SSCI)
  •  "최근 중국의 민주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현대중국연구』2권 10호,2009.02, 현대중국학회.(KCI).
  •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과 대중의 참여: 물권법 통과를 사례로."『중국의 정책결정』(서울:한중싱크넷, 2018.12)(단행존 중 논문)
  • "동북아 차이니스 디아스포라와 국가정책."『국제지역연구』3권 12호 , 2008.10, 한국외대지역학종합센타.(KCI)
  • Jung-Nam Lee, "The rise of China and soft power; China's soft power influence in Korea", The China review 1권 8호, 2008.04, The Chinese Honkong University.(SSCI)
  •  
  • 李正男,"中國的崛起,對中國周邊國家是威脅或是機會?"『現代國際關系』12, 2007.12, 現代國際關系硏究院(CSSCI). 
  • "체제전환기 중국의 다문화주의-국제결혼을 중심으로."『민족연구』32 , 2007.12, 교양사회.(KCI)
  • 李正男,"韓國人對中國的認識及其對韓中關系的含義", 『韓國硏究論總』 1卷 17号, 2007.12, 中國復旦大韓國硏究中心.(CSSCI). 
  • "중국의 기층민주주의 확대와 향진장 직선제."『국제지역연구』 2권 11호, 2007.07,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KCI)
  • "동북아 국가체제와 인구이동: 초국경적 사회통합과 동북아적 특성."『신아세아』 2권 14호, 2007.06, 신아세아질서연구회.(KCI)
  • 이정남,"중국의 기층선거와 파면권행사: 정치적 의미와 한계." 『국가전략』 1권 13호, 2007.03, 세종연구소.(KCI)
  • “최근 한국의 중국정치 연구동향: 주제와 쟁점을 중심으로.”『현대정치학 이론의 발전』 2007.02, 인간사랑.(단행본 중 논문)
  • Jung-Nam Lee, "Revival of Chinese Nationalism Since the 1990s and its Characteristics: Perspectives of Chinese Intellectualls." Asian Perspective Vol.4, No. 30( Dec., 2006).  (SSCI)
  • "天下에서 민족국가로: 중국의 근대민족주의의 형성 및 현재적 의의를 중심으로."『중소연구』1권 30호, 2006.05,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KCI)
  • "근대중국의 공화주의적 정치체제의 등장과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제한된 정치적 시민권의 제도화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1권 40호 , 2006.03, 한국정치학회.(KCI)
  • "동아시아 협력네트워크와 지방의 역할: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 4권 9호, 2006.01,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KCI))
  • 이정남,“중국의 기층선거와 여성의 정치참여.”『중소연구』2권 29호, 2005.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KCI)
  • 李正男, “中国在东北亚和平构想中的多边外交所占的地位及其界限.” 『當代亞太』 2005年 第6期,中國社會科學院亞太硏究所.(CSSCI)
  • “중국의 대외인식과 정책: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전쟁관과 평화관을 중심으로.”『평화연구』1권 13호, 2005.04, 고려대 평화연구소.(KCI)
  •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국제정치논총』1권 45호, 2005.04, 한국국제정치학회.(KCI)
  • “간도영유권분쟁의 현실과 과제."『시대논리』6권, 2004.12, 교양사회.
  • “체제전환기 중국의 사영기업가단체와 국가: 원저우지역 상회(商會)를 중심으로."『현대중국연구』1권 5호, 2003년 10월, 현대중국학회.(KCI)
  •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정책: 미·일동맹을 중심으로."『평화연구』4권 11호, 2003.10, 고려대 평화연구소.(KCI)
  • “중화사상과 근대 동북아 국제관계의 재편."『국제지역연구』2권 7호, 2003.04,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KCI) 
  • “체제전환기 중국의 촌민자치와 국가와 사회관계."『중소연구』2권 26호, 2002.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KCI)
  • “개혁기 중국 농촌의 정치참여와 통제."『국제정치논총』2권 41호, 2001.11, 한국국제정치학회.(KCI)
  • “중국의 제2차 향진기업 창업전략을 통해서 본 지방정부의 역할-수난지역을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1권 17호, 2001.06,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KCI)
  • 이장남, “중국의 시장화 과정 중 향진기업의 발전과 지방정부의 역할: 수난지역과 원저우지역을 사례로."『한국정치학회보』4권 34호, 2000.12, 한국정치학회.(KCI)
  • “중국의 체제전환기 지방정부의 역할: 온주지역 향진기업의 발전 중 지방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논총』14호, 2000.10, 한국세계지역학회.(KCI)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