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시대의 출현과 중국 군체성 사건의 발전: ‘신공민운동’을 사례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4권 2호(2016년 4월)
|
-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딜레마: 전환과 지속의 갈림길에서,” 『한국과 국제정치』 31권 3호(2015년 9월)
|
- “중국 군체성 사건의 새로운 변화와 특징: 분절적 저항행위에서 사회운동의 맹아적 형태로,” 『국가전략』 21권 2호(2015년 6월)
|
- “시진핑 집권 이후의 중국 대외정책 변화와 동아시아 정책,” 『성균 차이나 브리프』 3권 2호(2015년 4월)
|
- “‘좋은’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중소연구』 38권 3호(2014년 가을), 한양대 아태지역센터/중국문제연구소.
|
-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인터넷 여론의 역할: 제3차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책결정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014년 제21권 제3호, 경희대 국제지역원.
|
-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중 전략적 협력을 둘러싼 딜레마,” 『평화연구』 제22권 1호(2014.4.30), 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 “Perceptions of Democracy among Intellectuals in Contemporary China: Evidence from Study on Political Scientists in Beijing and Shanghai” Asian Perspectiv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Portland State University)(forthcoming)
|
- “중미관계에 대한 중국의 인식: ‘이익 상관자’, ‘G2’와 ‘신형강대국관계’를 중심으로”『현대중국연구』 제15집 1호(2013).
|
- "시진핑(習近平)지도체제의 등장과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 <아세아연구> 56권 1호(2013, 3월).
|
- “Dilemma of Korea-China Relations with the Emergence of the G2 Era”,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0, No.2 (December, 2012).
|
- "중국의 정치변화: 공산당과 인민대표대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아세아』, 19권 2호, 2012.06, 신아시아연구소
|
- “Outlook on Chinese Foreign Policy in the Coming Era of Xi Jinping from China'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OREA INSTITUTE DEFENSE ANALYSES(KIDA) vol.24, no.3 2012.
|
- "韓國對中國在東北亞安全嶺域角色的認知", 『現代國際關系』(中國現代國際關系硏究院) 第11期(2011年11月).
|
-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 Change in China’s View of the U.S.: Analysis of Academic Perspectives",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Area Studies), Vol.29 No.2 2011.
|
- "민주주의에 대한 중국의 인식: 비교 역사적 관점을 중심으로",『아세아연구』3권 54호, 2011.09, 아세아문제연구소
|
- "제11기 4차 인민대표대회를 통해서 본 중국의 발전 방향",『EAI논평 (웹진)』 , 2011.04, 동아시아연구원
|
- "냉전기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 동맹관계의 동학",『평화연구』, 1권 19호 , 2011.04,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 "중국의 정치개혁과 정치변화 전망",『중국의 미래를 말하다:글로벌 수퍼파워의 가능성과 전망』2011.04, 동아시아연구원
|
- "중국의 동아시아 안보공동체의 이론과 정책",『동아시아 공동체 설립과 평화구축』, 2010.12, 동북아역사재단
|
- "2010년 중국의 정치개혁 논쟁의 의미와 한계",『동아시아브리프』18권, 2010.11, 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
|
- "조화세계론을 통해서 본 중국의 동아시아 질서구상: 중화질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1권 50호 , 2010.03, 한국국제정치학회
|
-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국제관계연구』1권 15호,2010.03, 일민국제관계연구원
|
-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theory of ChineseStyle Democracy", International Area Review(A Joint Publication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and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13, no.2 (Spring, 2010).
|
- "중국의 전략적 동반자외교에 대한 이해와 한중관계",『평화연구』3권 17호 , 2009.10, 고려대 평화연구소
|
- "중국 기층민주주의 발전과 정치적 의의",『민족연구』38호 , 2009.06, 민족문화연구원
|
- "China's soft power in East Asia: an estim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surveys of six countries"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KOREA INSTITUTE DEFENSE ANALYSES(KIDA) Vol.21 No.2(June, 2009)
|
- "최근 중국의 민주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현대중국연구』2권 10호 , 2009.02, 현대중국학회
|
-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과 대중의 참여: 물권법 통과를 사례로",『중국의 정책결정』, 2008.12, 항중싱크넷
|
- "동북아 차이니스 디아스포라와 국가정책",『국제지역연구』3권 12호 , 2008.10, 한국외대지역학종합센타
|
- "The rise of China and soft power; China's soft power influence in Korea",The China review 1권 8호 , 2008.04, The Chinese Honkong University
|
- "中國的(山+屈)起, 對中國周邊國家是威脅或是機會?",『現代國際關系』(現代國際關系硏究院) 第12期(2007年 12月)
|
- "체제전환기 중국의 다문화주의-국제결혼을 중심으로",『민족연구』32 , 2007.12, 교양사회
|
- "韓國人對中國的認識及其對韓中關系的含義",『韓國硏究論總』1권 17호 ,2007.12, 中國復旦大韓國硏究中心
|
- "중국의 기층민주주의 확대와 향진장 직선제",『국제지역연구』2권 11호 ,2007.07,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 "동북아 국가체제와 인구이동: 초국경적 사회통합과 동북아적 특성",『신아세아』2권 14호, 2007.06,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 "중국의 기층선거와 파면권행사: 정치적의미와 한계",『국가전략』1권 13호 ,2007.03, 세종연구소
|
- “최근 한국의 중국정치 연구동향: 주제와 쟁점을 중심으로”,『현대정치학 이론의 발전』, 2007.02, 인간사랑
|
- "Revival of Chinese Nationalism Since the 1990s and its Characteristics: Perspectives of Chinese Intellectualls",Asian Perspectiv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Portland State University) vol.30, No. 4(winter, 2006)
|
- "天下에서 민족국가로: 중국의 근대민족주의의 형성 및 현재적 의의를 중심으로",『중소연구』1권 30호, 2006.05,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 "근대중국의 공화주의적 정치체제의 등장과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 제한된 정치적 시민권의 제도화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1권 40호 , 2006.03, 한국정치학회
|
- "동아시아 협력네트워크와 지방의 역할: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 4권 9호, 2006.01,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 “중국의 기층선거와 여성의 정치참여”,『중소연구』2권 29호,2005.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 “China's Multilateral Diplomacy:Posi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Conception and Its Limitation”,『當代亞太』6호,2005.06, 中國社會科學院 亞太硏究所
|
- “중국의 대외인식과 정책: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전쟁관과 평화관을 중심으로”,『평화연구』1권 13호, 2005.04, 고려대 평화연구소
|
- “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국제정치논총』1권 45호, 2005.04, 한국국제정치학회
|
- “간도영유권분쟁의 현실과 과제",『시대논리』6권, 2004.12, 교양사회
|
- “체제전환기 중국의 사영기업가단체와 국가: 원저우지역 상회(商會)를 중심으로",『현대중국연구』1권 5호, 2003년 10월, 현대중국학회
|
-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정책: 미·일동맹을 중심으로",『평화연구』4권 11호, 2003.10, 고려대 평화연구소
|
- “중화사상과 근대 동북아 국제관계의 재편",『국제지역연구』2권 7호, 2003.04,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 “체제전환기 중국의 촌민자치와 국가와 사회관계",『중소연구』2권 26호, 2002.08,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터
|
- “개혁기 중국 농촌의 정치참여와 통제",『국제정치논총』2권 41호, 2001.11, 한국국제정치학회
|
- “중국의 제2차 향진기업 창업전략을 통해서 본 지방정부의 역할-수난지역을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1권 17호, 2001.06,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
|
- “중국의 시장화 과정 중 향진기업의 발전과 지방정부의 역할: 수난지역과 원저우지역을 사례로",『한국정치학회보』4권 34호, 2000.12, 한국정치학회
|
- “중국의 체제전환기 지방정부의 역할: 온주지역 향진기업의 발전 중 지방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세계지역연구논총』14호, 2000.10, 한국세계지역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