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새책소개

Total 4

  • 아세아연구 통권 191호(66권 1호)
            한국 2022: 윤석열 정부의 등장과 민주주의 후퇴의 서막​ / 지병근    중국공산당 20차 당대회와 “중국식 근대화”: 시진핑은 성공적으로 노선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인가?​ / 이정남    2022년 대만: 지방선거와 펠로시 방문으로 본 양안관계의 격동기​ / 지은주    일본  2022: 포스트 아베·포스트 팬데믹 시기 기시다 내각과 일본 정치외교 / 김성조    경제제재는 대상국 여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사드 배치를 두러싼 중국의 대한국 경제제재 사례를 중심으로 / 유성훈    이주 노동자는 남인가? : 미디어 사용에 따른 이주 노동자에 대한 태도 변화​ / 이세희​
    2023.04.17 Views 215
  • 아세아연구 통권 190호(65권 4호)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 주요 원인과 비정치적 효과​ / 이내영   정서 양극화와 집단 정체성 인식 / 하상웅   5·18 국가폭력과 지역주의 정당지지: 역사적 유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 조영호, 김용철   누구를 위하여 당대회가 열리나?: 숙청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도형, 이화준   '일본'이라는 거울에 비친 독도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 강국진​
    2023.01.04 Views 562
  • 아세아연구 통권 189호(65권 3호)
    출판일: 2022-09-30 판매가: 15,000 원
      대만 2021: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목과 대만 문제의 부상 / 최은정・유경하・황옥자・박의경・김용철분단 가족은 어떻게 재생산되는가: 미수복지역 조할머니의 삼대(三代)에 걸친 분단 가족 형성사 / 김윤희서남해 도서지역에 잔존했던 상·장례 풍속 조사와 그 특징 및 의미 / 김용갑​ 
    2022.10.11 Views 560
  • 아세아연구 통권 188호(65권 2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출판일: 2022-06-30 판매가: 15,000 원
    대만 2021: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목과 대만 문제의 부상 / 남광규일본 2021: 기시다 정부 출범과 '관저-자민당 협력'의 영향 / 이기태지역의 연고성과 지방정부에 대한 주민들의 주관적 평가: 7대 광역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박선경, 김태완한국의 핵무장 가능성 / 박용수민주화 이후 5.18에 대한 부인(denial)의 정치학 / 곽송연동서양 내-외발성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혼성 근대화론의 제기 : 황태연의 '서구의 유교적 근대화론'에 관한 비판론 / 고성빈북한 협동농장 개혁에 대한 고찰: 협동농장 경영방식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은찬마에다 도시카즈(前田利一)의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외무성 관료로의 궤적: 코리아스쿨의 탄생과 함의 / 박경민시의(時宜)의 뉴 노멀을 정립한 뉴 프린스, 태종 이방원 : 박홍규, 『태종처럼 승부하라』(푸른역사, 2021) 읽기 / 윤대식나진, 김상연 역술의 『국가학』에 대하여: 김효전의 반론을 중심으로 / 정혜정​ ​
    2022.07.13 Views 817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