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중국구해관사료

중국구해관사료

본 자료는 [中國舊海關史料(1859-1948)](全170권. 京華出版社, 2001년)를 정리한 것이다.
[中國舊海關史料]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중국에서 海關은 대외무역을 관리하고 관세를 징수하던 기관이었다. 1853년 이후 1945년까지 중국해관의 관할권은 서양인에 의해 장악되었다. 중국해관은 100년에 가까운 기간을 통해 대량의 자료를 축적했다. 이 자료는 근현대 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거의 모든 방면을 포괄하고 있지만,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역통계 자료이다.

해관은 1859년부터 통계작업을 시작하여 1948년까지 90년에 걸쳐 정기간행물을 출간했다. 출간된 각종 자료는 각 지역 해관에서 보고한 기초 통계를 근거로 작성된 사료적 가치가 뛰어난 경제기록이다. 중국의 대외무역사와 경제사 연구자들은 대부분 이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나아가 중국해관은 임오군란 이후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면서 조선해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래서 [貿易統計年刊] 가운데에는 1885년부터 1893년까지의 [朝鮮海關年報]도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다.

해관자료의 내용

[中國舊海關史料]는 크게 무역통계와 무역보고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무역통계
    • [中國舊海關史料]의 통계자료에는 무역, 환업무, 관세, 금융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연도별로 해관별, 국별 수출입 무역과 중계무역을 기본 편제로 하여, 淸朝․北洋政府․國民政府․汪精衛政府․滿洲國 등 시기별 해관의 수출입 화물량, 가격, 관세 등이 정확히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시기 관세협정의 상황, 매년 각국 화물선이 각 해관에 출입한 수량과 톤수, 각 해관에 출입한 중국인과 서양인의 수, 移民 등의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각 시기 화폐가치의 변화와 釐金(중국내 상품 통과세), 船料 징수의 변화도 열거되어 있다.
  • 무역보고
    • 무역보고에는 각 해관의 무역상황에 대한 총괄적인 개설과 함께 대외무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해관 인접 지역에 대한 사회조사를 실시하여, 총세무사에 보고한 자료도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정사나 지방지에도 없는 당시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상황에 대한 원사료가 많이 있다.

[中國舊海關史料]에 포함된 주요 자료

[中國舊海關史料]는 1859-1948년까지 중국해관의 각 분관과 해관 총세무사 造冊處, 만주국 재정부 및 경제부에서 편집한 각종 보고를 中國舊海關史料 편집위원회에서 수집하여, 총 170권으로 출판되었다.

주요 자료
작성기관 제목
중국해관 분관과 해관 총세무사 造冊處 <進出口貿易報告>
<貿易統計報告>
<中國各條約口岸貿易統計報告>
<各口岸貿易統計報告>
<各口岸貿易統計報告和調査報告>
<通商各關華洋貿易總冊>
<貿易統計報告和調査報告>
<通商各關華洋貿易論略>
<通商各關華洋貿易全年淸(總)冊>
<通商各關華洋貿易總冊>
<海關中外貿易統計年刊>
<最近十年各埠海關報告>
만주국 재정부, 경제부 <滿洲國外國貿易統計年報>
<滿洲國外國貿易統計月報>
[구한국외교관계부속문서] 전 10권의 각 서목 권수는 다음과 같다.
  • 해관안 2권(제 1권~2권)
  • 통서일기 4권(제 3권~6권)
  • 외아문일기 1권(제 7권)
  • 교섭국일기 2권(제 8권~9권)
  • 간도안 1권(제 10권)

대외무역 전체 추이

본 통계의 각 항목은 영문으로 작성했다. 그 이유는 상품 품목의 경우 영문명과 중문명 모두 대응되는 한국어 해석이 불가능하여 원문 표기를 원칙으로 했다. 그래서 보다 보편적인 방식인 영문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 본 통계에서는 지수 기준연도를 1913년으로 설정했다. 중국 대외무역과 근대공업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근대 이후 장기적으로 발전해가던 대외무역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근대공업이 발전하면서 대외무역의 내용 구성도 변화되었다. 따라서 중국 대외무역과 근대공업의 발전과정에서 제1차 세계대전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보아 1913년을 지수 기준연도로 설정했다.

* 기준연도인 1913년에 통계가 없을 경우 1913년과 가장 가까운 해를 기준연도로 삼았다.

* 통계표는 원 통계, 달러 환산 통계, 해관량 환산 통계로 이루어져 있다.

* 통계는 대외무역 전체추이, 국가별, 항구별, 상품별, 해관세입으로 나누어져 있다.

* 각 장은 수출, 수입, 수출입, 수출비율·지수, 수입비율·지수, 수출입비율·지수를 산출하고, 각 국가별, 항구별, 상품별로 개별 국가, 항구, 상품의 수출입 통계, 지수를 산출했다.

* 1932년 이후 재수입 항목이 있으나 일관성을 위해 생략했다. 따라서 이후 수입은 순수입만 표시했다.

* 원 통계의 화폐단위는 1868~193(1)2년까지는 해관량으로 표시되어 있고, 1933~1947년 사이에는 국폐로 표시되어 있고, 1948년에는 金圓(G.Y.)으로 표시되어 있다. 국폐의 표시단위는 1932~1940년까지는 St. $(Standard Dollar)로, 1941~1947년에는 C.N.$(Chinese National Dollar)로 표시했다. 1941년 이후 국폐 표시를 St. $에서 C.N.$로 바꾸었다. 국폐는 1933~1935년 사이는 銀兩 대신 銀元을 제정하여 사용했고, 1935년 폐제개혁 이후에는 법정화폐를 사용했다. 은원과 法幣의 해관량과 교환비율은 모두 國幣 1元에 海關兩 1.558兩으로 정했다.

* 당시 세계적으로 은본위제 국가는 중국이 유일했고, 대부분 국가에서 금본위제를 채택했다. 중국은 은가가 하락하면, 수입무역에서 막대한 손해를 보고 해관세입도 감소했다. 그래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세관 세입을 보전하기 위해 해관 금단위를 도입해서 상품 수입은 해관 금단위로 기재하고, 상품 수출은 국폐로 기재했다. 1933년 이후 상품 수출무역은 국폐로 수입무역은 해관 금단위로 표시되었다.

국가별

1931년까지 국가별 무역은 직접무역액(외국에서 직접 수입한 액수)만 기재했다. 1932년부터 국가별 무역은 무역총액(순무역액+재수출입액)을 기재했다. 1946년부터는 순무역액(무역총액에서 재수출입액을 뺀 액수)을 기재했다.

* 1930년까지 Asia Other Countries는 Turkey, Iran, Ezypt, Algeria, Aden이 단일한 통계로 잡혀 있었기 때문에 대륙별 비율이 정확하지 않다. 다만 그 수치가 크기 않기 때문에 전체 추이를 파악하는 데 특별한 문제는 없다.

* Asia Other Countries는 Amur Provinces, British North Borneo, French Possessions in India, North Borneo, Aden, Afghanistan을 포함한다.

* Japan의 대외무역 통계는 1930년까지는 Taiwan을 포함했다.

* India는 1942년까지 British Indida로 표시되어 있었다.

* Australia는 1930년까지 New Zealand를 포함한 무역액이다.

* Austria는 1930년까지 Hungary를 포함한 무역액이다.

* Russia-Pacific Ports, Russia-Siberia by Land Frontier, Russia-Amur Ports는 楊端六·侯厚培 等, 六十五年來中國國際貿易統計(立中央硏究院 社會科學硏究所, 1931)에는 아시아로 분류했으나 Russia(U.S.S.R)에 통합해서 유럽에 포함시켰다.

* Europe Other Countries에는 Danzig, British Channel, Suez, Gibraltar, Irish Free State, Andorra, Baltic Republics 등이 포함되어 있다.

* U.S.A는 U.S. Pacific Territory and Possessions, Hawaii, Central America: U.S. Territories를 포함한 것이다.

*1931년까지 Mexico는 Central America: Republic of에 포함되어 있다.

* Americas 기타에는 British Central America, Netherlands West Indies, British Guiana and Falkland Islands, Curacao Island, Ecuador, French Central America, Netherlands Guiana, Paraguay, Bolivia가 포함되어 있다.

* Other Countries에는 Spanish West Africa, Japanese Pacific Mandated Territories, Belgian Congo and Ruanda-Urundi, British East Africa, British Pacific Islands, Protectorates, and Mandated Territories, British West Africa, French East Africa, French West Africa, Portuguese East Africa, Origin Unidentifiable, Abbyssinia가 포함되었다. 1932년부터는 Central America: Republics of, Liberia도 Other Countries로 분류했다.

* Ezypt에는 Sudan이 포함되어 있다.

상품별

상품 분류표는 楊端六·侯厚培 等, 六十五年來中國國際貿易統計(立中央硏究院 社會科學硏究所, 1931)에 근거하여 Main Categories, Middle Categories, Commodities로 나누었고, 1948년 상품목록 근거해서 추가했다.

* 1868~1873년까지 上海銀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시기 통계는 상해는 상해 規銀으로 표시했고, 다른 항구는 각 지방 은으로 표시했다. 당시 해관량 1량은 상해 은 111.4량과 교환되었고, 각 지방 은은 104~106량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해관보고에서는 상해 은으로 통일해서 기재했지만, 교환 비율이 달랐기 때문에 이 통계수치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어서 해관량으로 환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1868~1873년의 정확한 통계를 산출하기 어려워 제외했다.

* 1948년 대외무역을 달러 환산하지 않은 이유는 상반기와 하반기의 환율 차이가 극심했기 때문이다. 1948년 하반기는 월별로 환율 변화가 나왔다.

* 시작연도를 1868년으로 삼은 이유는 1868년 이후 통계가 비교적 믿을 만했기 때문이다.

* 본 해제집의 통계는 원 통계를 바탕으로 달러 환산 무역액, 해관량 환산 무역액으로 구분하여 기재했다. 해관량 환산 무역액은 1936년까지만 기재했다. 이는 화폐단위가 국폐로 바뀐 것도 있지만, 1937년 중일전쟁이 발생한 뒤, 화폐 환산단위가 윤함구와 국통구 사이에 일치하지 않고, 환율 변동도 심해서 해관량 환산을 하지 않고, 달러 표시 무역액으로만 기재했다.

* 중국은 1935년 이전 은본위제 국가였기 때문에 해관량으로 무역액을 산출했다. 하지만 세계무역에서 금은비가가 등락하는 가운데 은 기준 무역액 산출은 실제상황을 반영하지 못했다. 실제 무역액을 알기 위해서는 세계 표준화폐였던 금 단위로 환산해서 무역액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금 단위로 산출하면 해관량 단위로 산출한 중국 대외무역액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본 해제집에서는 미국 달러로 환산한 통계를 작성했다. 아울러 연구자들의 편의와 비교를 위해 해관량 환산 통계도 작성했다.

* 1870년은 원통계 가격은 있지만 달러환율 통계가 빠져 있어 달러환산 가격은 1869년과 1871년의 평균으로 산출했다.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