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아연 사람들

  • 손기영 [대만연구센터장, 글로벌AI안보센터장] [부원장]

    • 소속
    • 전화 02-3290-5243
    • 이메일skyquick@korea.ac.kr / skyquick@hotmail.
    • 연구실아세아문제연구원 206호
학력
2004.09
  • 영국 셰필드대학교 박사
1998.09
  • 고려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석사
1989.02
  •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학과 학사
경력
2022.2 ~ 현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부원장
2013.7 ~ 현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2011.11 ~ 2013.6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2009.10 - 2011.03
  • 일본 동북대학교 법학부 객원부교수 
2008.03 - 2009.09
  • 일본 릿쿄대학교 법학부 JSPS연구원
2007.09 - 2008.02
  • 아일랜드 더블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후연구원
2005.02 - 2007.06
  • 영국 셰필드대학교 동아시아과 조교수
1988.07 - 2002.09
  • 코리아타임즈 기자/정치부장
저서, 편서 및 단행본 논문
  • 학살의 제국과 실패국가: 한일관계의 불편한 기원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2).
  • 신춘추오패: 패권과 탈패권 사이의 21세기 국제질서 (편저) (서울: 아연출판부, 2021).
  • Order Wars and Floating Balance: How the Rising Powers Are Reshaping Our Worldview in the Twenty-First Centur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8) (with Andreas Herberg-Rothe).
  • 현대 동아시아 국가의 형성과 발전 (서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공동저자: 조원빈, 박인휘, 김학성, 이한우, 윤대엽, 서보혁, 김기정, 천자현).
  • 통일 이후 국가정체성 형성방안: 이론과 사례연구 중심 (서울: 통일연구원, 2015) (공동저자: 박종철ㆍ신종호ㆍ김학성ㆍ김성진).
  • China's Rise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Hegemony or community? (Politics in Asia)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4) (Yong Wook Lee, Co-Editor).
  • 동아시아지역질서의 복합변환과 한국의 전략 (서울: 아연출판부, 2014) (공동편자: 이용욱).
  • South Korean Engagement Policies and North Korea: Identities, Norms and the Sunshine Policy (남한의 포용정책과 북한: 정체성, 규범 그리고 햇볕정책)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6).
  • Japan’s Responses to Actors Outside 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 “Rogue States” and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in Glenn Hook (ed.) Decoding Boundaries in Contemporary Japan: The Koizumi Administration and Beyond (London/New York: Routledge, 2011) (Book Chapter).
  • "From a Fault Line to a Catalyst: An Emerging Korean Confederation and the Contour of a Northeast Asian Security Community?" in Bernhard Seliger and Werner Pascha (eds.) Towards a Northeast Asian Security Community: Implications for Korea's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Springer, 2011), 13-26. (Book Chapter).

 

학술지 논문

2020

  • “백년간의 위기?: 영국과 미국의 유일 패권 쟁취 과정이 21세기 미중 패권 경쟁에 주는 함의,” 아세아연구 63(4), pp 107-136.

2019

  • “위기의 동아시아 통합론: 통합이론의 분석수준과 통합환경 분석,” 국제관계연구 24(2), pp. 5-41.
  • 기억의 사각지대에서 잊힌 홀로코스트: 일본의 정미의병 및 민간인 학살과 한반도 강점의 시작,” 일본연구 79권, pp. 53-73.

2018

  • 실패국가, 실패패권, 근대국가의 홀로코스트 삼중주: 청일전쟁과 일본의 동학농민군 대량학살의 개념적 분석,” 일본공간 24, pp.223~259.

2017

  • 기억되는 과거의 과잉(過剩): 국제정치의 시간성(temporality)과 반일정체성의 장기지속(longue durée) 및 위안부 문제,” 아태연구 24(2), 2017.6, 41-68.
  • 헤겔적(Hegelian) 공동체 구상과 국가 성찰: 독일과 대만의 사례를 통하여,” 아세아연구 60(4), 2017.12, 75-110.
  • 인정과 오인: 사드 배치와 한중 간 인정투쟁,” 국제관계연구 22(2), 2017.12, 115-149.

2016

  • Multihegemony, ‘Sutured Regionness,’ and the USChina–Japan Triangle, Asian Perspective, vol. 40, no. 1 (Jan.-Mar. 2016) 79-103.

2015

  • 인정투쟁 관점에서 동북아국제관계와 규범공동체 형성,” 국제정치논총, 55 4호, 41-74
  • 위계성, 자주성, 공동체론의 충돌과 조화: 동아시아적 국제관계론의 부상이 북한 핵개발과 한반도 분단에 주는 함의’, 아세아연구 58(2): 142-171.

2014

  • 일본의 “보통국가”로의 전환과 동북아 안보협력을 위한 한국의 전략: 지역안보협력과 “국가정체성이슈”의 연계(linkage)를 중심으로’, 국제관계연구 19(1): 115-142.
  • Middle Powers and the Rise of China: ‘Identity Norms’ of Dependency and Activism and the Outlook for Japan-South Korea Relations vis-à-vis the Great Powers’(중견국과 중국의 부상: 의존과 행동주의라는 정체성규범과 강대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한일관계의 전망), 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5 (1): 91-112.

2013

  • 한반도평화체제와 대북정책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공동전략비전: 국가정체성(state identity)과 규범(norm)의 괴리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56 (3): 201-230.
  • ‘Building a Maritime “Great Wall” to Contain China?: The Complex Interplay of State, Market, and Societal Actors in Japan’s Recalibration of Risk with the Militarization of Okinawa’ (중국의 봉쇄를 위한 바다의 만리장성 쌓기는 가능한가?: 오키나와의 군사기지화에 따른 일본의 리스크 재조정에 있어서 국가, 시장, 사회행위자들간의 복합상호관계), Asian Perspective, 37 (3).
  • ‘A Tale of Two “Alliances”: Internal Threats and Networked Civil Society in Japan–US and South KoreaUS Base Politics (두 개의 동맹이야기: 미일과 한미의 “기지정치”에서 내부의 위협과 네트워크화된 시민사회), Pacific Focus, 28 (1) (April), 1742 (with Glenn Hook)
  • ‘Transposition in Japanese state identities: overseas troop dispatches and the emergence of a humanitarian power?’(일본의 국가정체성의 전환: 해외파병과 인도주의국가의 탄생),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67 (1): 35-54  (with Glenn Hook)

2012

  • ‘Harmony, the Supremacy of Human Agency and East Asia’s Mega-Discourses for Governance’(조화, 인간행위자의 우위와 거버넌스를 위한 동아시아의 거대담론),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5 (4): 395-423.
  •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와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한 한국의 역할, 국제문제연구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12 (2): 1-34.

2011

  • “From a Garrison State to a Humanitarian Power?: Security Identities, Constitutive Norms and South Korea’s Overseas Troop Dispatches,” (병영국가에서 인도주의국가로: 안보정체성, 구성적 규범과 한국의 해외파병)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3, no. 4 (2011): 557-573.
  • 북한의 대일협상전략: 약소국가와 중견국가의 외교행태와 협상목표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19 (2): 137-159, (박창건, 최청호 공저).
  • ‘From Two Koreas to One Korea?: Japanese Security Policies and the Outlook for Korean Unification’ (두 개의 한국에서 하나의 한국으로?: 일본의 안보정책과 한반도통일의 전망), Korea Review 1 (1): 127-144.
  • ‘Review: North Korea Goes Online’ (북한의 온라인 실태), Asian Politics and Policy 3 (3): 489-90
  • ‘Japan’s Responses to Actors Outside 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 “Rogue States” and North Korea’s Nuclear Threats’(국제사회의 경계 밖의 국가에 대한 일본의 대응: “깡패국가”와 북한의 핵위협), in Glenn Hook (ed.) Decoding Boundaries in Contemporary Japan: The Koizumi Administration and Beyond (London/New York: Routledge)

2010

  • ‘Constructing Fear: How the Japanese State Mediates Risks from North Korea?’, (공포의 생산: 일본은 북한으로부터의 리스크를 어떻게 중재하는가), Japan Forum 22 (1-2): 169-194.
  • 북일수교교섭의 미사일문제: 국제사회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과 국제정치 26 (4): 179-213 (박창건, 최청호 공저).

2009

  • ‘From a Fault Line to a Catalyst: An Emerging Korean Confederation and the Contour of a Northeast Asian Security Community’, (분단선에서 촉매제로: 미래의 남북한연합과 동북아시아안보공동체의 윤곽) KEI Publications, available at http://www.keia.org/Publications/Other/HS-Son.pdf.

2007

  • ‘Entrenching “identity norms” of tolerance and engagement: lessons from rapproch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관용”과 “포용”의 정체성규범: 남북한의 화해가 주는 교훈),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33 (3): 489-509

 

북 챕터

2006

  • ‘The Rise of China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안정), a paper on the 7th Report of Session 2005-6, the Foreign Affairs Committee of the House of Commons, Britain (영국의회 외교위원회)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