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공지사항

[공지] 11월 아연 HK 워크숍

2012.11.15 6680

11월 아연 HK 워크숍

 

일  시:2012년 11월 19일(월) 오후 4시~6시 

장  소:아연 대회의실(3층)

 

발표1

주   제: 1920년대 말 滿洲 朝鮮人과 朝鮮 華僑 문제에 대한 ·의 인식과 대응

발표자: 박정현(아연 HK연구교수)

토론자: 송규진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도 사람물자자본의 이동이 본격화되면서 사회적·문화적 교류가 급격히 증가했다이 과정에서 상호 이동을 통해 문화를 흡수하기도 하지만이질적인 문화는 상호 갈등의 요소가 되기도 했다. 1분과 세부주제는 근대 이후 동북아시아 지역의 상호교류가 증가하면서 나타난 동북아 갈등과 협력의 역사적 실재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 인민들의 상호 접촉면의 증가에 따라 발생한 갈등 상황과 이에 대한 상호인식을 역사적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했다.

 

발표2

주   제:조선 ‘재계’의 대동아공영권 해석

발표자:송병권(아연 HK연구교수)

토론자:이동준(아연 HK연구교수)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략을 시작으로 형성되는 '대동아공영권'에 대해 기존의 ‘일만지 블록경제’ 레벨에서 가동되고 있었던 동북아시아 즉 조선-만주-화북으로 이어지는 기존의 경제권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확보하고 있었던 조선의 ‘재계’ 관계자들은 이에 따라 기존의 경제구조의 재편 가능성을 전망하면서 조선의 재계의 이해관계를 대동아공영권이란 새로운 상황 속에서 확보하고자 하였다. 1940년대 조선의 재계가 직면한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경제적 인식의 다양성과 지역적 이해관계의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통해 이시기 동북아시아 지역의 입체적인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첨부파일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