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과 중국정치, 그리고 정치변화
시간: 2012년 4월 13일 오후 1:20-6:00
장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대회의실
주최: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HK사업단/중국연구센타
개회식(1:20-1:30)
환영사: 이내영 소장
제1션: 중국 공산당의 정치〮사회 거버넌스구조와 외교안보
(13:30-15:50)
사회: 전성흥(서강대)
이동영(인천대), “중국 공산당의 대 사회 관리 전략 변화: 사회단체 관리 정책을 중심으로”
이정남(고려대), “당정관계를 통해서 본 중국의 정치변화전망: 공산당과 인민대표대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애경(명지대학), “중국 공산당 대외정책 결정과정 특징 변화”
이영학(외교부), “중국 공산당 대외전략의 지속과 변화”
토론: 이민자(서울디지털대), 김도희(한신대), 박홍서(동덕여대),
하도형(국방대), 이상국(국방연구원)
휴식(15:50-16:00)
제2세션: 중국 공산당의 제도적 특성과 엘리트
(16:00-18:00)
사회: 김재철(카톨릭대)
유은하(한신대) “중국 공산당의 공식 제도 변화의 특징: 조직제도를 중심으로”
김수한(인천발전연구원), “중국 공산당 비공식 제도변화의 특징: 최고 지도부 권력승계를 중
심으로”
주장환(한신대), “중국 세대별 정치 엘리트 특징의 변화: 1~5세대”
토론: 이문기(세종대), 김재관(전남대), 서상민(고려대)
8천여만 명 이상의 조직원을 확보하고 있는 중국사회의 핵심 엘리트조직인 중국 공산당은 지난 30여 년 간의 개혁개방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왔고, 앞으로도 상당기간 동안 중국의 발전과 안정적인 체제전환을 주도할 핵심세력으로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권력의 핵심에 대한 전면적인 대해부와 이해는 중국의 그동안의 발전과 변화를 이해하고, 향후 중국의 체제전환과 정치변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전제조건이다.
본 회의는 중국 공산당에 대한 전면적인 대해부를 통하여 국내의 중국 공산당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동시에 권력핵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체제전환과 정치변화의 방향과 특징을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중국은 그동안 개혁개방정책을 통하여 고속성장과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었다. 이제 그동안의 성과에 기초하여 이른바 제2의 체제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제2의 체제전환의 핵심은 이른바 성공의 위기로 인해 초래된 빈부격차와 부패, 실업률의 증가, 사회적 저항의 증가 등의 문제를 극복하면서 안정적인 정치체제전환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체제전환을 구상하고 조직하며 추진하는 주체가 중국공산당이다. 따라서 본 회의의 성과들은 향후 중국의 제2차 체제전환과 정치변화를 전망하는 데 중요한 성과를 낳을 것으로 본다.
(*원고는 pdf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