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동북아총서 점검(1분과, 3분과)
2011.01.06 4386

HK워크숍
주제: 아연 동북아총서 점검(1분과, 3분과)
발표자: 신미나(1분과), 박정현(3분과)
일시: 2010년 12월 27일(월) 오후 5시~6시 30분
장소: 아세아문제연구소 대회의실(3층)
아연 HK사업의 문제점
1. 핵심사업의 부재
- 아연 HK사업의 특색 모색 필요
- 아젠다, DB,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에 있어 아연이 가질 수 있는 강점 분석 필요
2. 사업계획서에 제시된 사항 중 미비점
- 동북아 리뷰:동북아 주요 자료집 작성. 연구성과 및 동향과 의미 파악
- 자료공유시스템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새로운 자료 수집
- 한중일 동북아 연구기관과 학술회의 정례화
- 대학원생 대상 동북아 지역 학제간 연구모임 제도화
- ‘지역학 연계전공’개설 및 ‘동북아지역학협동과정’ 프로그램 개발
- 대외협력실 신설
- 국내 최우선 협력기관 선정
전략 사업 구상
1. 연구 센터 중심 체제 도입
- 각 분과는 분과 아젠다 관련 사업추진
- 연구 센터체제의 장점
1) 현실적인 이슈와 연구여건을 감안한 유연한 연구 사업 추진 가능
2) 국내외 학자들과의 교류협력의 허브로 기능
3)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
=> 기존 연구센터 역할 강화 및 신설 관련 대책 마련 필요
2. 디지털 아카이브 확대 구축
3. 홈페이지 리뉴얼
4. 국제협력네트워크 강화 방안
5. 연구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무엇을 할 것인가?
1. 핵심전략사업의 선정 (아래는 案임)
1) 연구센터 중심체제 도입
2) 디지털 아카이브 확대 구축
3) 홈페이지 리뉴얼
4) 국제협력네트워크 강화
5) 연구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2. TF팀 결성
- 2011년 1월 말까지 사업계획 수립
- 2011년 2월 말까지 시스템 준비
- 2011년 3월 부터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