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아연동북아총서

[아연 동북아 총서] 4.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과 전개: 역사적 성찰과 정치 경제적 쟁점

이내영.이신화 엮음 지음 출판일: 2011.07.29 판매가: 13,000 원 2011.08.30 Views 2011.08.30

동북아총서 04 표지.jpg 

 

저자 :이내영, 이신화 엮음ㅣ 아연출판부 ㅣ 2011-07-29 ㅣ 판매가: 13,000원 ㅣ




동북아 지역에서는 지리적 근접성, 공통의 역사ㆍ문화적 체험, 공존의 필요성 등을 토대로 지역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고 교류ㆍ협력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존재하는 동시에, 역사적 반목 및 냉전기 이념 분쟁에서 비롯된 국가 간 경쟁과 갈등이라는 상반된 현상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사회ㆍ경제적 층위에서의 '상호 의존'이 외교ㆍ안보적 측면에서의 '상호 갈등'과 맞부딪치면서, 역내 평화 구조가 제도화되지도, 공동체가 확고하게 수립되지도 못했으며, 역내 각국 시민들 간에도 평화와 공존을 위한 상호 인식과 초국가적 정체성이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북아 국제질서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역사적 성찰 및 정치적ㆍ경제적 이슈와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역내 국가들의 교류ㆍ협력 활성화 방안 및 제도화하는 방향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목차

제 1부 동북아 근대 질서의 형성과 변화

1장 근대 개항장에서 나타난 조선인과 중국인의 갈등과 해결방식 | 박정현
2장 대동아공영권 구상에서의 '지역'과 '세계'  | 임성모
3장 일제하 '선만관계'와 '선만일여론' | 송규진

제2부 동북아 경제 관계의 형성과 변화

4장 전후 미국 헤게모니와 산업화 시기 한국과 타이완의 금융체제 연구    | 변영학
5장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경제공동체 구상의 전개와 동아시아 공간 | 김현성
6장 한ㆍ중ㆍ일 경제통합 (FTA) 논의의 역사적 고찰 | 정인교

제3부 동북아 냉전체제의 동학과 지역 질서

7장 1954년 제네바 회담과 동북아 냉전질서 | 김연철
8장 냉전기 중국의 대북 정책과 북ㆍ중 동맹 관계의 동학 | 이정남
9장 동북아시아의 초국가적 정체성과 질서 | 길버트 로즈만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