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아연동북아총서

[아연동북아총서] 18.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

박상수.송병권 편저 지음 출판일: 2014.05.29 판매가: 15,000 원 2014.06.13 Views 2014.06.13

18-cover.jpg


아연 동북아 총서 18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

 박상수·송병권 편저 | 아연출판부 |2014년 5월 29일| 판매가: 15,000원 |


이 책의 기획 의도는 격증하는 초국가적 현상과 함께 동아시아가 적극 환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근대 역사 과정에서 가장 활발히 동아시아가 호출되던 전시기(戰時期)의 아시아 인식과 실재를 검토해 봄으로써 동아시아의 사상적/성찰적 자원을 발굴해 보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동아시아가 초국가적수준의 입론을 불가피하게 요청하고 있다고 할 때, 당면한 것은 동아시아 초국가성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라는 사상 과제이외에도 동아시아 민족국가 수준의 배타적 주권 주장과 국가 간 힘의 비대칭성을 어떻게 인정/초극할 것인가라는 현실적 난제일 것이다. 전시기는 근대이래 전개되어 온 ()아시아 인식이 민간과 지식계의 담론의 영역을 넘어 일본 제국의 실제 정책과 결합해 간 시기였다. 일본 제국이 지도하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지역질서 구상은 사상사적으로는 19세기 중반으로부터 축적되어 온 이른바 아시아주의논의의 연속이었고, 현실 국제정치에서는 서구 주도 국제질서의 전환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 책은 전시기 역사적 경험 속에서 동아시아를 조명하면서 그것이 내포한 가능성과 함께 분명한 한계들을 되묻고자 했다. 동아시아 인식의 현실 추수와 정당화의 논리가 제국질서의 반영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에 대한 반발, 불화, 대안의 모색도 역시 제국의 현실로부터 온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앞으로 동아시아가 우리가 처한 현실로부터 다시 성찰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저자 소개

 

박상수(朴尙洙)

고려대학교 사학과 교수

프랑스 고등사회과학연구원(EHESS) 역사학 박사

전 아세아문제연구소 부소장

동아시아, 인식지평과 실천공간(공저, 2010)

중국혁명과 비밀결사(2006)

이 책 1장 집필

 

백지운(白池雲)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폭력의 연쇄, 연대의 고리-오키나와 문학의 발견역사비평103(2013)

“East Asian perspective on Taiwanese identity: a critical reading of 'Overcoming the Division System' of Taiwan:A Radical Quarterly in Social Studies” Inter-Asia Cultural Studies 11-4(2010)

이 책 2장 집필

 

손애리(孫愛利)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박사

"근대 일본 식민정책학의 전개와 귀결: 1942년 대일본척식학대회를 중심으로" 한림일본학(2013)

"인조대 전례논쟁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조선 지식관료층의 정통(正統) 관념" 사회와역사(2011)

이 책 3장 집필

 

송규진(宋圭振)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교수 겸 아세아문제연구소 비교사연구센터장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청계주한사관당안소송안건계량화를 통한 근대 한중 간 소송사건에 대한 재해석아세아연구155(2014)

“Cooperative Imperialism” in Colonial Korea:The Role of Japan and the Western Powers in Abolishing Foreign Settlements“, Acta Koreana 16-2(2013)

이 책 4장 집필

 

박정현(朴正鉉)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1950년대 초 臺灣反共과 대륙 反攻計劃사총76(2012)

근대 중국 대외무역을 통해 본 동아시아(2008)

이 책 5장 집필

 

송병권(宋炳卷)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일본 토쿄대학교 박사(학술)

“1940년대 전반 일본의 동북아지역 정치경제 인식 동아광역경제론을 중심으로사총80(2013)

日米援助返濟交涉朝鮮債權-その一括處理返濟金使途アメリカ太平洋硏究4(2004)

이 책 6장 집필

 

김인수(金仁洙, Kim, In-Soo)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객원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

"범주와 정치", 일본역사연구38 (2013)

"植民地知識国家", 思想1067(2013)

이 책 7장 집필

 

이송순(李松順)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농가경제 분석" 사학연구104(2011)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 경제(2008)

이 책 8장 집필

 

이형식(李炯植)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교수

일본 토쿄대학교 박사(문학)

朝鮮総督府官僚統治構想(2013).

패전 후 귀환한 조선총독부관료들의 식민지 지배 인식과 그 영향韓國史硏究153(2011)

이 책 9장 집필

 

목차

 

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10

머리말 12

 

1장 동아시아 근대 아시아主義讀法: 系譜, 類型, 層位 / 박상수 19

1. 아시아주의의 기원: 19세기 지정론, 문명/인종론, 맹주론의 태동 23

2. 인종/문명 담론의 확산과 일본 맹주론의 대두: 러일전쟁으로부터 1920년대까지 34

3. 지역질서 구상과 초국가[민족]적 민족주의: ‘15년 전쟁42

4. 민족의 이해를 넘지 못하다 47

 

2장 민족국가의 개조와 아시아: 리다자오(李大釗)연방론재독 / 백지운 53

1. 다시 환기되는 아시아 53

2.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 신성치 못한 제휴? 58

3. 자기 개조의 원리로서의 연방 68

4. ‘연방론의 비운과 여운 86

 

3동아를 호출하는 세 가지 경로: 일전쟁기 쇼와연구회의 동아협동체론을 중심으로 / 손애리 92

1. 동아협동체와 동아’ 97

2. ‘동아를 말하는 자리: 세계주의, 지역주의 그리고 신식민지주의 114

3. 질문되어야 하는 것들 117

 

4장 일제의 대륙 침략기 북선 루트북선 3’ / 송규진 122

1. ‘북선 루트북선 3과 북철 125

2. 만주 경제권 통합과 북선 루트북선 3’ 141

3. 경제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조선 물자 수탈 152

 

5장 중일전쟁 시기 일본 점령지역(淪陷區) 대외무역과 무역 네트워크의 변화 / 박정현 160

1. 윤함구 대외무역의 추이 163

2. 일본의 대외 봉쇄와 무역 네트워크의 변화 171

3. 일본의 물자 통제와 수출입 구조의 변화 179

4. 일본의 윤함구 대외무역 실패와 대동아공영권의 붕괴 188

 

6장 전시기 식민지 조선 재계와 식민지 경제 지배 시스템: 시국연구회를 중심으로 / 송병권 193

1. 시국연구회의 결성과 활동 197

2. 시국연구회와 조선총독부 경제 지배 기구 217

3. 향후 연구를 전망하며 237

 

7장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의 사회과학 비판: 인정식의 비교에 관한 소고 / 김인수 240

1. 총력전기 조선의 지식장(知識場)의 구조 변동 245

2. 자기 인식과 타자 인식: 정치적 실천으로서의 비교’ 249

3. 식민지 지식인들의 실패를 돌아보며 272

 

8장 일제 말 전시체제하 국민생활의 강제와 그 실태: 일상적 소비생활을 중심으로 / 이송순 277

1. 일제의 침략전쟁과 식민지 조선인 통제 277

2. 서민의 일상적 소비생활에 대한 통제 논리: ‘국민생활로의 재편성 280

3. 일상적 소비생활의 통제 실태 295

4. 국민생활의 파탄과 일제의 패전 315

 

9장 미나미 지로 조선총독 시대의 중앙조선협회 / 이형식 318

1. 황민화정책과 중앙조선협회 320

2. 전시 통제와 중앙조선협회 326

3. 동아일보강제 폐간 사건과 중앙조선협회 336

4. 조선총독부와 중앙조선협회는 왜 대립했는가? 347

 

영문 초록 352

 

 

첨부파일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