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아연사료총서

[아연사료총서] 2. 일제강점기 사회사업관계자료 해제

송규진 송병권 편 지음 979-11-89273-15-6 출판일: 2019.09.30 판매가: 18,000 원 2020.09.07 Views 2020.09.07

아연 사료 총서 2
일제강점기 사회사업관계자료 해제

송규진・송병권 편 | 아연출판부 | 2019월 9월 30일 | 판매가 18,000원

 

 

 

이 해제집은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지원사업 ‘한말·식민지 시기 사회 경제조사와 통계 기초연구’(연구책임자: 송규진)의 성과이다.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조사 통계자료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표로 간주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사회와 경제 현상 및 흐름에 대한 통계정보는 개인이 경험을 통해 얻는 지식보다 ‘객관적 사실’로서 강력한 사회적 힘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회경제조사는 조사의 목적, 조사 방법, 조사 내용, 분류기준 등을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따라 조사의 결과 값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사회경제조사의 결과로 산출된 정보에 대한 해석은 산출과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정책수립에 동원되는 사회경제조사는 발화자, 목적, 실시대상, 실시방법, 조사에 동원된 과학적 지식, 결과의 사회적 유통, 조사의 효과 등에 대한 정보를 분명히 하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제강점기 지배정책사, 경제사, 사회사 연구는 통계정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에 생산된 통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기 위해서 사회경제조사에 대한 해제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해석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담보하기 위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그동안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조사와 관련된 자료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방치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일본 연구자들이 일반적으로 언급하는 ‘제국의 통합적 실천으로서 사회사업’이라는 평가에 대해 일제의 강제지배라는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는 한국이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제기하여 기존의 한국근대사 연구방법과 관점을 새롭게 모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사회경제조사의 목적, 방법, 기준을 재검토할 뿐만 아니라 산출된 통계에 내포된 과학적 합리성을 비판하고자 한다.

 

[저자소개]

송규진

고려대 사학과(학사), 고려대 일반대학원 사학과(석사, 박사)를 졸업했다. 고려대‧공주대‧대전대‧원광대 강사, 연세대 사학과 박사후 연수자,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통계로 보는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사』(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일제하의 조선무역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아연출판부, 2014, 공저), <『동아시아 근대 '네이션'개념의 수용과 변용』(고구려연구재단, 2005, 공저),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선인, 2004, 공저) 등이 있다.

 

송병권

고려대 사학과(학사), 고려대 일반대학원 사학과(석사), 도쿄대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학술박사)를 졸업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및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 『東アジア地域主義と韓日米關係』(クレイン, 2015),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아연출판부, 2014, 공저), 번역서로 『GHQ-연합국최고사령관 총사령부』(타케마에 에이지 지음, 평사리, 2011), 『한일교섭-청구권문제의 연구』(오오타 오사무 지음, 선인, 2008, 공역)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구빈 및 방면사업

Ⅰ. 빈곤과 구빈사업

Ⅱ. 실업구제와 토막민

Ⅲ. 방면사업

Ⅳ. 조선총독부 제생원

Ⅴ. 이재 구조

Ⅵ. 구료 사업

 

제2장 방빈사업과 경제보호사업

Ⅰ. 공설시장

Ⅱ. 주택과 공익질옥

Ⅲ. 노동조사와 직업소개

Ⅳ. 이주와 시설

 

제3장 경제갱생과 사회교화

Ⅰ. 농산어촌진흥운동과 농촌사회사업

Ⅱ. 아동·청소년 보호와 사회교육

Ⅲ. 황민화 교육과 사회교화

 

제4장 군사원호사업

 

제5장 조선사회사업총람

Ⅰ. 사회사업요람

Ⅱ. 지역 사회사업

Ⅲ. 사설 사회사업 개요

 

색인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