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연구논저

한국인의 갈등의식 현황과 변화: 제1~3차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윤인진 부소장)

2016.11.07 Views 1210

-제목: 한국인의 갈등의식 현황과 변화: 제1~3차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저자 : 윤인진(부소장)

-출판정보 : 한국사회 16(1) (2015.6)

 

-논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현황을 단계론적으로 접근하여 참여정부 이후 사회갈등이 여전히 확산되는지 아니면 점감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아울러 심각한 갈등의 종류가 시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조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공공갈등과 집회 및 시위 통계와 같은 객관적인 자료와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와 같은 주관적인 자료를 사용했다. 공공갈등과 집회 및 시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공갈등은 2004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했다가 그 이후로 감소 추세에 있다가 2008년 이후에 다시 증가했다. 집회·시위는 2008년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가 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12년에 다시 증가했다. 한국인의 갈등의식을 조사한 결과, 한국인은 현재 사회갈등을 여전히 심각한 수준으로 인식하지만 과거에 비교해서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계층갈등, 노사갈등, 지역갈등과 같은 이익갈등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그 심각성이 지속적으로 완화됐지만, 이념갈등, 세대갈등, 정치갈등과 같은 가치갈등은 오히려 동일시기에 증폭된 것으로 인식됐다. 이명박 정부에서 사회갈등이 계속 확산된 이유는 참여정부에서 시도된 갈등관리와 해결의 제도화와 사회적 학습이 이명박 정부에서 계승되지 못했기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갈등연구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사회적 학습이론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I apply a stage model to social conflict of Korean society and attempts to examine if social conflict has continued to escalate or deescalate after the Roh Moo-hyun government. Also, I aim to examine how types of serious social conflict have changed. For these purposes, I used objective data such as statistics of public conflicts and rallies and demonstrations as well as subjective data drawn from surveys of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public conflicts and rallies and demonstrations show that the events of public conflicts reached the pinnacle in 2004 and then deescalated until it started escalating again since 2008. The number of rallies and demonstration was the highest in 2008 and then decreased until it started increasing again since 2012. Results from the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 reveal that Koreans perceive that the current level of social conflict is still serious, but its level does not worsen compared to the past. Regarding the types of serious social conflict, Koreans view that the levels of class conflict, labor conflict, regional conflict had steadily declined during the 2007-2014 period, but the levels of ideology conflict, generation conflict, and political conflict had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main reason for the escalation of social conflict during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is thought to be a failure of retain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and social learning experience accumulated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Based on this study, I propose social learning theory as a new approach to conflict studies.

첨부파일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