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map

연구논저

제3후보로서의 안철수 부상(浮上) 원인의 이해 : 2012년 대통령선거 과정에 대한 분석을 (안종기 행정간사)

2016.11.07 Views 1142

-제목: 제3후보로서의 안철수 부상(浮上) 원인의 이해 : 2012년 대통령선거 과정에 대한 분석을

-저자 : 안종기 (행정간사)

-출판정보 : 사회과학연구 제31집 3호 (2015.8)

 

-논문초록

 

본 논문은 지난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기존의 주류 양대정당에 속하지 않은 제3후보로서의 안철수의 등장과 부상이 왜 가능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다양한 논의와 설명을 검토하여 그의 부상이 가능했던 이유로 첫째 구조적 요인, 둘째 개인적 이미지 요인, 셋째 시장-제품 관점에서의 정치적 차별화 및 포지셔닝 요인의 세가지를 핵심적 설명의 틀로 제시한다. 분석 결과, 개인적 이미지 요인의 영향력이 제3후보로서의 안철수의 부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구체적인 속성으로는 ‘신뢰성’ 이미지가 중요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 이후, 그의 정치적 역할과 영향력의 잠재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3후보로서의 그의 부상이 어떤 이유들로 가능했는지를 되돌아봄으로써 현실정치에 대해 대중이 요구하는 가치와 덕목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 기반한 실증적 분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국정치에서의 제3후보의 등장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도 가치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why Cheol-soo Ahn, as the third candidate who did not belong to the two existing mainstream partie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was able to appear and rise in the political arena at that time. By reviewing the existing diverse discussions and explanations,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three factor-explanatory framework; first structural factor, second personal image factor, third political differentiation and positioning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ersonal image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on Ahn’s rise and specifically ‘trustworthiness’ attribute turned out to be very significant for his popularity. This research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two aspects; for understanding the public’s request toward values and virtues of the reality politics and for examining the third candidate’s rising factors based on integrated empirical analysis approach.

첨부파일
Sitemap